더 많은 거래소의 암호화폐 파생상품 인디케이터 데이터 지원

Sep 11

TradingView는 지속적으로 더 많은 시장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신 업데이트로 암호화폐 메트릭 지원 범위가 확대되어 이제 Bitget, HTX, Kraken, Deribit, Bitmex, Coinbase의 암호화폐 선물 및 영구 스왑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거래소들의 펀딩 레이트, 청산,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같은 강력한 메트릭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모든 인디케이터는 ‘ 인디케이터 메뉴’의 ‘파이낸셜’ 탭에서 확인 가능하며, 차트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 활동을 이해하는 것은 시장 역학 분석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추세를 포착하고, 투자자들의 기대를 추적하며, 변화를 예측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각각을 자세히 살펴보고 어떻게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펀딩 레이트로 시장 압력 평가하기

펀딩 레이트는 영구선물이 현물 가격과 일치하도록 유지하는 주기적 현금 흐름입니다. 영구선물은 만기가 없기 때문에 거래소는 균형 조정 수단으로 펀딩 레이트를 도입했습니다.

  • 양의 펀딩 레이트는 영구선물이 현물보다 높게 거래된다는 의미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 비용을 지불하므로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트레이더들의 강한 매수 압력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 음의 펀딩 레이트는 영구선물이 현물보다 낮게 거래될 때 발생하며,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 비용을 지불하므로 매도 압력이 도미넌스를 형성함을 의미합니다.

이 인디케이터는 시장 압력의 원천과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과 과도하게 괴리되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청산으로 반전 포인트 파악하기

레버리지 포지션이 증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자동으로 청산될 때 발생합니다.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매수 측 청산: 거래소가 자산을 매수하여 숏 포지션을 청산
  • 매도 측 청산: 거래소가 자산을 매도하여 롱 포지션을 청산

청산을 분석하면 시장이 반전될 수 있는 지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롱 청산은 종종 하락 후 발생하며, 숏 청산은 일반적으로 급등 후 발생합니다. 이러한 강제 매수 또는 매도가 끝나면 시장은 안정화되며, 종종 단기 고점/저점을 형성하고 가능한 반전을 암시합니다.

롱/숏 계정으로 심리지수 탐색

투자자 심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인디케이터를 추가했습니다.

롱/숏 비율 계정은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을 보유한 계정 수를 보여줍니다. 이는 전체적인 심리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트릭입니다. 이 메트릭을 활용하여 시장 참여자들이 강세 또는 약세에 치우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계정은 포지션 규모와 관계없이 한 번만 집계된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또 다른 유용한 인디케이터는 롱 숏 계정 비율입니다. 이는 롱 포지션(가격 상승 예상)을 보유한 트레이더와 숏 포지션(가격 하락 예상)을 보유한 트레이더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두 값의 합은 항상 100%를 이루므로 변화 추적이 용이합니다.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으로 시장 움직임 분석하기

미결제약정은 특정 시점에 활성 상태인 선물 계약(청산 또는 결제되지 않은 계약)의 총량을 측정합니다.

거래소에 따라 계약 수, 기준 통화 또는 호가 통화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가격과 함께 추적하면 시장 움직임이 신규 자금 유입인지 포지션 청산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미결제약정 증가 시 롱 포지션 신규 진입을,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미결제약정 증가 시 신규 숏 포지션 추가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움직이는 가운데 미결제약정 감소 시 기존 포지션이 확대되기보다 청산되거나 해제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번 업데이트가 글로벌 시장 탐색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알려주세요 — 여러분의 아이디어가 플랫폼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TradingView 팀

 

Look first Then leap

트레이딩뷰는 여러분을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트레이딩뷰의 멋진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세요